돌답례품

고전소설 '춘향전'은 18세기 이후 판소리로 공연되며 민중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다. 이후 140종이 넘는 이본이 등장했고, 그중 두 대표 이본인 '완판 84장본'과 '경판 30장본'을 함께 엮은 책 '열녀춘향수절가'가 출간됐다.

'춘향전'의 두 가지 맛을 한 권으로 통독할 수 있는 이번 책은 전주의 '완판(完板)'과 서울의 '경판(京板)'이라는 두 출판 지역의 차이뿐 아니라 춘향의 신분, 성격, 주변 인물에 대한 묘사에서도 극명한 차이를 보여준다.

기생 춘향과 양반 서녀 춘향, 연애를 주도하는 춘향과 음전한 춘향, 오만한 춘향과 서민의 지지를 받는 춘향 등 같은 이야기라도 전혀 다른 인물상이 펼쳐진다.

특히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는 조선 후기에 전주 일대에서 유통된 장편 완역본으로, 생생한 호남 방언과 판소리 리듬, 성적인 비유로 당시 민중의 언어와 감각을 생동감 있게 담아냈다. 이에 비해 경판 30장본 '춘향전'은 서울에서 유통된 비교적 짧은 분량의 버전으로, 이야기의 뼈대와 구조가 간결하며 원형에 가까운 서사를 간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책은 고어 원문과 현대어 번역을 나란히 배치하여 고전 읽기의 장벽을 낮췄다. 옮긴이는 "정보 습득이 목적이 아닌 작품 감상을 목표로 삼는다면, 고전만은 통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춘향의 다양한 형상을 비교하며 읽다 보면 '춘향전'이 한 시대의 사상과 미의식을 어떻게 반영해 왔는지 자연스레 드러난다.

'춘향전'은 지금도 개작되고 있다. 기생이 정실부인이 되는 이야기의 무게감, 사랑과 저항을 동시에 품은 서사, 그리고 독자와 작가의 개입을 유도해 온 유연한 서사 구조는 이 고전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완판과 경판을 나란히 읽는다는 건 고전을 해체하고 다시 조립하는 경험이다. '열녀춘향수절가'는 그러한 경험을 가능케 하는 텍스트이자, 고전 읽기의 즐거움을 회복시키는 책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과거를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독자에게 “앞으로 무엇을 주목해야 하는가?”를 묻는다. 소년공 시절의 아픈 과거, 정의와 개인의 영달 사이에서 갈등하는 법조인의 고뇌,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로서의 판단까지, 이재명의 삶은 반복적으로 갈등과 선택의 교차로에 놓였고, 그때마다 자신의 방식으로 방향을 결정해왔다.

저자 방현석은 김근태 의장의 삶을 기록한 ‘그들이 내 이름을 부를 때’, 김대중 대통령을 조명한 다큐멘터리 ‘길 위의 김대중’ 내레이션 작업, 장편소설 ‘범도’ 등을 통해 인물 서사와 시대 인식의 결합을 꾸준히 시도해왔다. 그는 이번 작업에서 “정치적 프레임이 만든 허상들을 걷어내고,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이재명이라는 존재를 다시 묻고 싶었다”라고 말한다.

책은 “재명아, 결정해라”라고 일기에 적었던 열세 살 소년의 문장부터 시작한다. 이는 단지 회고적 장면이 아니라, 그의 삶 전체에 걸쳐 반복된 태도이자 철학이었다. 이재명은 어떤 상황에서도 운명을 외부에 위탁하지 않았다. 주어진 조건을 돌답례품 받아들이되, 그 조건을 넘어서기 위한 결정을 내리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이 책은 그 선택들이 옳았는지 틀렸는지를 판단하기에 앞서, 그 모든 ‘결정’의 이유를 보여주는 데 집중한다. 그리고 그것은 독자가 이재명이란 인물과 더불어, 지금 대한민국이 당면한 현실과 선택지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단서가 된다.

‘이재명 평전’은 한 인물에 대한 기록을 넘어, 그 인물을 통해 한국 사회가 통과해온 길과 앞으로 직면할 갈림길을 비추는 거울이다. 이재명의 서사를 읽는다는 것은 결국,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가 어디로 갈 것인가를 질문하는 일과 같다. 나아가 길을 잃고 혼돈에 빠진 세계를 향해 대한민국이 보내는 새로운 희망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